법관/검사/헌법연구원 목록 ( 총 : 6건)
-
내년부터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시험 공직적격성평가 인사혁신처가 출제
내년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 시험문제를 인사혁신처가 출제한다.인사혁신처는 30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법원행정처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시험 공직적격성평가(PSAT) 문제 공동 활용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내년부터 인사처가 출제하는 5급 공개채용시험 제1차시험 과목(PSAT)인 ▲헌법 ▲언어논리영역 ▲자료해석영역 ▲상황판단영역 문제를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시험에 공동 활용하게 된다.또한, 문제 출제 및 인쇄를 비롯해 수험생 이의제기 접수, 정답 확정까지 인사처가 종합적으로 지원한허정운 기자 2024-04-30 -
제41기 5급 법원 신규 임용후보자 과정 수료식 성료
5급 법원 공무원 수료자들이 공직에 첫발을 내딛는다.법원공무원교육원(원장 문대영)은 지난 16일 법원공무원교육원 소강당에서 ‘제41기 5급 신규임용후보자과정 수료식’을 성료했다고 밝혔다.이번에 수료한 제41기 신규 공무원은 제41회 법원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한 이들로 16주간의 교육을 마친 총 10명이 수료했다. 이날 수료식에서 성적 우수상은 최항석 교육생과 박찬현 교육생이 수상했다. 문대영 교육원장은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계층을 돕고 배려하는 삶이 결국 행복하고 성공하는 삶이다"라는 점을 강조하며 “국가 공무원으로서 겸손한 마음으로허정운 기자 2023-11-26 -
로스쿨 재학생의 40% 고소득층이 차지해
[퍼블릭뉴스=허정운 기자] 법학전문대학원(이하 로스쿨) 재학생의 40%가 고소득층인걸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서동용 위원(더불어민주당)은 한국장학재단으로 받은 ‘2022~2023 로스쿨 재학생 소득분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로스쿨 전체 25개 대학 재학생 중 44%(2,784명)가 고소득층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고소득층은 소득구간 9~10구간과 장학금 미신청자의 합계로 소득구간 9~10구간은 2023년 기준 월소득 약 1천6백만 원 이상인 가구에 속한 학생을 의미한다. 전체 25개 로스쿨 중 올해 고소득층이 가허정운 기자 2023-10-23 -
법무부, 단계적으로 판사와 검사 증원한다
앞으로 단계적으로 판사와 검사 정원을 증원한다. 법무부는 2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각급 법원 판사 정원법' 및 '검사정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판사 정원은 2023년 50명을 시작으로 2024년 80명, 2025년 70명, 2026년 80명, 2027년 90명 총 370명을, 검사 정원은 2023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40명씩, 2026년부터 2027년까지 매년 50명씩 총 220명을 증원할 예정이다. 이처럼 판 검사 정원을 증원하는 이유는 재판제도의 변화에 의한 재판의 장기화가허정운 기자 2022-12-21 -
대법원, 5년이상 경력 법조인 135명 신임 판사 임용
대법원(원장 김명수)은 지난 5일 대법원 1층 대강당에서 5년이상 경력이 있는 법조인 135명을 신임법관으로 임명하고 임명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김명수 대법원장를 비롯해 조재연 선임대법관, 박정화 대법관, 김상환 법원행정처장 등이 참석해 신임 판사들을 격려하고 축하했다. 이번에 임용된 신임 판사들의 출신 직역별로는 법무법인 등 변호사 86명을 비롯하여 검사 18명, 국선전담 변호사 11명, 현 재판연구원 11명, 국가기관‧공공기관 변호사 9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 63명(46.7%), 여자 72명(5허정운 기자 2022-10-07 -
법원행정처, 2022년 제28회 법무사 1차시험 합격자 393명 발표
올해 법무사시험 제1차시험의 합격선이 지난해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법원행정처는 5일 2022년 제28회 법무사시험 제1차시험 합격선은 60.5점으로 총 393명이 합격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62.5점보다 다소 하락한 점수다. 과목별로는 제1과목(헌법‧상법)의 점수는 72.948점에서 65.298점으로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제4과목(부동산등기법‧공탁법)도 72.978점에서 67.975점으로 하락한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제2과목(민법‧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은 68.667점으로 지난해 64.789점보다 4점 가까허정운 기자 2022-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