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뉴스=박진우 기자] 최근 6년 새 전공의 수가 감소한 가운데, 특히 흉부외과, 산부인과 등 필수의료 분야에서의 전공의 이탈이 두드러져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공의 중도포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 전공의 임용 수는 올해 1만 3535명으로 2017년 1만 5196명 대비 1661명(1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수련병원에 들어가 인턴을 하거나 전문과목을 선택해 전공의 과정을 밟고 있다가 중도에 포기하는 비율도 늘고 있다며, 매년 300명 이상이 전공의 수련을 받다가 포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에 따르면 전공의 중도 포기자 수는 2017년 318명, 2018년 331명, 2019년 345명, 2020년 338명, 2021년 379명, 지난해 342명이었다. 올해도 8월 말 기준 217명이 전공의가 되기를 포기했다. 임용됐다가 중도 포기한 경우를 비율로 보면 2017년 2.1%에서 2018년 2.2%, 2019년 2.4%, 2020년 2.5%, 2021년 2.8%로 증가세다. 지난해엔 중도 포기 비율이 2.5%였다.
1년 차인 인턴 때부터 중도 포기하는 비중도 높아지는 추세다. 2017년 전체 전공의 중도 포기자 중 인턴 비율은 30.5%(97명), 2018년엔 28.1%(93명)였는데 2021년 31.7%(120명), 2022년 36.8%(126명)로 상승했다. 올해는 8월 말까지 74명이 인턴 과정에서 포기하며 34.1%를 기록했다.
이 의원은 수련병원에 들어가 인턴을 하거나 전문과목을 선택해 전공의 과정을 밟고 있다가 중도에 포기하는 비율도 늘고 있다며, 매년 300명 이상이 전공의 수련을 받다가 포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에 따르면 전공의 중도 포기자 수는 2017년 318명, 2018년 331명, 2019년 345명, 2020년 338명, 2021년 379명, 지난해 342명이었다. 올해도 8월 말 기준 217명이 전공의가 되기를 포기했다. 임용됐다가 중도 포기한 경우를 비율로 보면 2017년 2.1%에서 2018년 2.2%, 2019년 2.4%, 2020년 2.5%, 2021년 2.8%로 증가세다. 지난해엔 중도 포기 비율이 2.5%였다.
1년 차인 인턴 때부터 중도 포기하는 비중도 높아지는 추세다. 2017년 전체 전공의 중도 포기자 중 인턴 비율은 30.5%(97명), 2018년엔 28.1%(93명)였는데 2021년 31.7%(120명), 2022년 36.8%(126명)로 상승했다. 올해는 8월 말까지 74명이 인턴 과정에서 포기하며 34.1%를 기록했다.
이 의원은 이러한 전공의 포기 현상은 의과대학 졸업 후, 전공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일반의만 돼도 미용의료로 충분한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필수의료 분야 전공의의 포기율이 높은 것은 필수의료 붕괴 가속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끝으로 이 의원은 "필수과목의 전공의 이탈을 막아야 필수의료도 살릴 수 있다"며 "필수과목 전공의 이탈을 막기 위한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필수의료 분야 전공의의 포기율이 높은 것은 필수의료 붕괴 가속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끝으로 이 의원은 "필수과목의 전공의 이탈을 막아야 필수의료도 살릴 수 있다"며 "필수과목 전공의 이탈을 막기 위한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이종성 의원, 10대 충치 환자 증가에 우려 표명
- 이종성 의원, "보건복지부, 정신질환 문제 나몰라라...보완점 개선해야"
- 이종성 의원, ‘응급환자 안전 사각지대’ 해소 위한 제도개선 필요 강조
- 이종성 의원, '희귀질환관리법' 개정안 대표발의
- 이종성 의원, "文케어로 인한 건강보험 지출은 현재진행형"
- 이종성 의원, "정신질환 의료 인프라 확충 시급"
- 이종성 의원,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 대표 발의
-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 '치매환자 조기발견과 의료적 치료접근성 확대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 국민의 힘 이종성 의원, 주택부채공제 대상 확대 법안 대표발의
- 이종성 의원, "정신과 환자 증가 못 따르는 '전문의 충원' 문제 심각"
- 이종성 의원, 대한적십자사 '2022 헌혈의 날' 예산 낭비 지적
- 국민연금, 과오납금 1조 넘어...반환 미요구시 환급 안돼
- 복수 국적 해외 출생 아동, 현금지원 재검토 필요
- 암 환자, 수도권 쏠림...대책 필요
- [입장문] 국민의힘 2024년 예산안 심사방향에 대한 입장
- 국민의힘 인재영입위원회, '국민 인재' 추천 방식 오픈...4대 영입원칙 겸비
박진우 기자
sunsoul579@daum.n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