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경부암 환자 2013년 30만 2,960명 → 2022년 42만 9,054명 41.6% 증가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국회의원 

[퍼블릭뉴스=박진우 기자]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가 주요 원인인 두경부암‧구인두암 환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국회의원(보건복지위․서울송파병)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 ‘두경부암 및 구인두암 진료 환자 현황’에 따르면, 두경부암 환자 수는 2013년 30만 2,960명에서 2022년 42만 9,054명으로 41.6% 증가했고, 구인두암은 2013년 3,847명에서 2022년 6,003명으로 56% 증가한것으로 나타났다.

두경부암 진료 환자 현황
두경부암 진료 환자 현황

또한 성별로 살펴보면, 두경부암은 2022년도 기준 전체 42만 9,054명 가운데 남성이 10만 4,881명(24.4%), 여성이 32만 4,173명(75.6%)이었으며, 구인두암은 전체 6,003명 가운데 남성이 4,890명(81.5%), 여성이 1,113명(18.5%)으로 나타났다.

남 의원은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국가예방접종은 지난 2016년 만 12세 여아에게 지원을 시작하여, 지난 2022년부터 만 12세~17세 여성청소년 및 만 18-26세 저소득층 여성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 시행하고 있다. 지원 대상인 백신은 2가‧4가이며, 9가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구인두암 진료 환자 현황

남 의원은 “윤석열 당시 후보는 ‘59초 쇼츠’ 공약 발표를 통해 가다실 9가 백신 접종에 보험을 확대 적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고, 국민의힘 대선 정책공약집에는 ‘남성도 12세부터 HPV백신 국가무료 접종 실시’가 포함되어 있으나, HPV백신 남성 접종 및 지원 백신 확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OECD 국가 HPV국가예방접종 현황’을 보면, 한국과 같이 2가 또는 4가 백신을 여성 청소년에만 지원하는 나라는 일본, 멕시코 등 7개국에 불과하고, 미국, 캐나다 프랑스 등 18개국은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9가 백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 의원은 “최근 HPV백신 비용효과성 분석 보고서는 현재 국내 상황에서 대상자 확대 또는 9가 백신 전환이 긍정적이지 않다고 결론 내린 바 있다”라며,  “HPV는 자궁경부암 뿐 아니라 두경부암, 구인암, 항문암 등 여러 암의 원인이기 때문에 대다수 OECD 국가에서 HPV백신을 적극적으로 접종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비용-효과 연구를 재추진하고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추진하길 바란다”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퍼블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