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여객기, 활주로 1600m 미끄러지다가 충돌…30일 제주항공 '랜딩기어 이상' 회항

국토교통부는 지난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179명의 사망자를 낸 보잉 737-800(B737-800) 기종에 대해 전수 특별점검을 실시한다고 30일 밝혔다.  

항공 안전을 총괄하는 주무 부처인 국토부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무안 여객기 사고 관련 브리핑'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국토부는 "제주항공 사고기와 같은 기종(B737-800)이 우리나라에 101대 운영되고 있다고 하는데 (이에 대해) 먼저 특별점검을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가동률을 비롯해 항공기 운항 전후 이뤄지는 점검과 정비 등 기록 등에 따라 여러 규정이 잘 준수되고 있는지 들여다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B737-800 기종은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대부분이 운용 중이다. 제주항공이 39대로 국내 항공사 중 가장 많은 수를 투입하고 있다. 이어 티웨이항공 27대, 진에어 19대, 이스타항공 10대, 에어인천 4대, 대한항공 2대 등이다.

국토부는 사고기를 운용한 제주항공에 대해 강도 높은 안전 점검을 진행하고,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와 기체 제작사인 보잉사와 함께 사고 원인 등에 대한 합동 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사고 여객기는 지난 29일 복행 이후 전체 2800m 길이의 활주로 3분의 1 지점에 동체착륙을 시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부는 "활주로 시작점으로부터 1200m 지점에 착지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달리 말해 동체착륙으로 1600m 미끄러지다가 둔덕과 외벽에 부딪혔다는 것이다.

B737-800 기종은 사고 다음날에도 말썽을 일으켰다.  30일 오전 6시30분 김포공항에서 출발한 제주행 제주항공 여객기는 이륙 직후 랜딩기어에서 이상신호가 떴다.

이후 지상정비센터와 교신해 정상작동이 이뤄졌지만 기장은 안전을 위해 김포공항으로 되돌아왔다. 당초 이 여객기에는 161명이 타고 있었다.

항공기를 교체를 거쳐 8시30분쯤 제주로 출발했다. 이 과정에서 승객 21명은 탑승을 포기했다. 

한편 국토부는 이번 참사의 피해 규모를 키운 핵심 요인으로 지적되는 활주로 인근의 콘크리트 재질 방위각 시설과 관련, 다른 국내 공항에도 설치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위각 시설은 비행기의 공항 활주로 진입을 돕는 일종의 안테나이다. 항공기와의 충돌에 대비, 기체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 부러지거나 접히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 무안공항 방위각 시설은 둔덕 위 단단한 구조물에 설치, 항공기를 대파시킨 주범으로 비판받고 있다.

주종완 실장은 "무안공항은 활주로 종단 안전구역 외곽의 활주로 끝단에서 약 251m 거리에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설치돼 있다"며 "여수공항과 청주공항 등에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방위각 시설이 있다"고 밝혔다.

제주항공 여객기는 동체착륙으로 미끄러지면서 활주로 끝을 벗어나 방위각 시설에 이어 담벼락에 부딪히면서 기체가 두 동강이 나면서 화재가 발생했다.

주 실장은 "방위각 시설은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설치 규정이 있고, 이를 파악하는 중"이라며 "재질이나 소재에 제한이 있는지, 사고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면밀히 파악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전날 사고기에서 회수한 비행자료기록장치(FDR)과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 등 블랙박스 2종을 이날 오전 김포공항 시험분석센터로 이송해 분석 가능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사고 조사에는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가 참여하고, 기체 제작사인 보잉과 미국·프랑스가 합작투자한 엔진 제작사인 CFMI와 협의 중이다. NTSB는 이번 참사에 조사를 돕기 위해 미국 조사팀을 파견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번 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과 관련해 "건설 추진 중인 신공항에 대한 관련 규정 강화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상 조류 충돌 위험을 줄이기 위한 규정이 있으며, 그 규정에 맞게 평가를 하고 있다"며 "신공항 사업에 대해서는 조류 충돌 문제는 보다 꼼꼼하게 살펴보고 전문가와 함께 보완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퍼블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