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대화 시작해야…이견·이해관계 조정해 협력·타협 도달"

박병규 광산구청장. [사진=광산구]
박병규 광산구청장. [사진=광산구]

박병규 광주 광산구청장이 4일 윤석열 대통령 파면 환영 성명을 통해 "이번 파면을 주권자의 승리"로 규정하고,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사회적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구청장은 이날 성명에서 "매서운 눈보라와 꽃샘추위를 견디며 윤석열 파면을 외친 주권자의 승리"라며 "심연에 잠긴 민주주의를 응원봉의 빛으로 건져낸 시민들에게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박 구청장은 현 상황에 대한 경계심도 함께 표명했다. 그는 "내란 우두머리가 자유롭게 활보하고 있으며, 얼마나 많은 이들이 내란에 부역했는지 드러나지 않았다"며 "모든 사실을 명백히 밝혀 단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구청장은 이번 사태를 '12·3 내란'으로 규정했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분석했다. 그는 "경쟁교육과 승자독식의 사회가 염치조차 모르는 괴물을 만들어냈다"며 "사실을 보지 못하고, 옳고 그름을 분별하지 못한 이들의 행동에서 망국의 위험까지 느꼈다"고 지적했다.

특히 박 구청장은 이번 사태의 해결책으로 사회적 대화를 제안했다. 그는 "어떠한 해법이 있는지를 주권자께 묻고, 함께 발굴하는 사회적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며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체계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구청장은 "누군가가 정해놓은 답에 따라 움직이던 방식은 수명을 다했다"며 "각계각층의 이해를 담을 수 있고, 집단지성을 활용할 수 있는 질문으로 시작하는 사회적 대화가 이견과 이해관계를 조정하여 협력과 타협에 이르게 한다"고 설명했다.

미지막으로 박 구청장은 "민주주의를 지킨 광장의 빛으로, 소외된 약자의 소리를 들어주던 경청의 힘으로, 새로운 민주공화국을 만들자"며 "망상과 혐오를 몰아낸 자리에 이성과 상생의 가치를 가득 채우도록 시민 여러분께 묻고 함께 뛰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퍼블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