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인재근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국회의원

[퍼블릭뉴스=박진우 기자] 인재근 의원은 코로나19 이후 학부모의 과도한 요구와 부당한 대우로 보육교직원의 직무 스트레스가 심화되고 있어 지원체계 강화 필요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보건복지위원회)이 한국보육진흥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보육교직원의 심리·정서 건강지원을 위한 “마음성장 프로젝트” 참여인원수는 코로나19 전인 3년(2016~2019년)까지 연평균 6,293명이다. 하지만 코로나19 기간인 최근 3년(2020~2022년) 평균은 36,956명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 의원은 코로나19 전후로 5.87배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도 보육교직원의 심리·정서안정을 위한 상담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보육교직원 상담지원 참여자는 코로나19 전인 2년(2018~2019년) 평균은 30,567건, 코로나19 기간인 최근 3년(2020~2022년) 평균은 18,462건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인 의원은 학부모의 과도한 요구와 부당한 대우로 보육교직원 직무 스트레스가 심화되고 있다며, 지난 2021년 보육실태조사에 따르면, 보육교직원 30.1%가 어린이집 내에서 혹은 부모로부터 권리를 침해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침해 주체는 부모가 71.9%로 가장 많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인 의원은 보육교직원은 어린이집에서 보호받기 힘들다. 법적대응을 위해 찾아갈 곳도 없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보육교사들은 학부모에게 부당한 갑질을 당해도 속으로 삭이는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인 의원은 현재 지역 육아종합지원센터 130개 중 심리상담 전문요원은 67명뿐이다. 상담사업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는 센터가 더 많다며 각 지자체에서 조례를 통해 보육교직원의 보호 및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미비하다고 밝혔다.

끝으로 인 의원은 “보육교직원의 심리상담 지원과 보육활동 침해행위에 대한 보호 장치가 미비하다.”라고 지적했다. “영유아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육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직원 심리안정과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보호체계 마련에 정부와 국회가 적극 나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퍼블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