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퍼블릭뉴스=박진우 기자 ] 넘처나는 외래어 사용 증가로 한글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보건복지위원회)이 문화체육관광부로 부터 제출받은 ‘2022년 개선 대상 공공언어 용어’에 따르면, 외래어는 2천 394개로 지난 2021년 2천 351개와 비교해 43개 늘었다.
인 의원은 "정부는 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 일환으로 부·처·청·위원회를 대상으로 매년 공공언어 쓰기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며 "지난 2022년 45개 중앙행정기관 대상으로 평가한 순위는 1위 문화체육관광부, 2위 법제처, 3위 교육부다. 보건복지위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7위, 질병관리청과 보건복지부는 각각 33위, 37위로 하위권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인 의원은 "각 공공기관은 국어기본법에 따라 국어의 발전 및 보전을 위한 업무를 총괄하도록 소속 직원 중에서 '국어책임관'을 의무적으로 지정해야 한다."며 "이렇게 각급 기관에 지정된 국어책임관들은 공공 부문에서의 국어 오용과 잘못된 표현의 남용을 막고 올바른 국어 환경을 조성하고자 보도자료, 보고서, 기관장 축사·인터뷰 등을 감수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라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책임관이 지난 2022년 한 해 동안 보도자료 등을 감수한 실적은 1천 224건이다.
또 (사)국어문화원연합회가 현대경제연구원에 의뢰한 '2021년 공공언어 개선의 정책효과 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어려운 공공언어 개선의 '공익적 가치'를 화폐 단위로 추정한 결과, 연간 3천 375억 원의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연구 분석이 나왔다.
인재근 의원은 “공공언어에 외국어를 남용한다면 그 불편은 공공기관의 서비스를 받는 국민에게 돌아가기 마련이고 경제적 손실도 크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기관은 정책 또는 업무를 효과적으로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알기 쉬운 용어를 개발보급하고 정확한 문장을 사용하도록 장려해야 한다. 특히 대민서비스 비중이 큰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은 더 노력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