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선정된 2분기 지급대상자에게 시 예산으로 청년기본소득 30% 지급 예정
[퍼블릭뉴스=박진우 기자]

성남시(시장 신상진)는 지난달 29일 경기도의 급작스러운 도비 보조금 미편성 통보로 3분기 청년기본소득 접수를 중단했다.
청년기본소득 지원사업은 24세 청년에게 자기 개발비 명목으로 분기별 25만 원(연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원하는 것으로 사업비의 70%를 경기도가, 30%를 성남시가 부담한다.
성남시는 올 1월 2023년 청년기본소득 지급을 위한 전체 예산 105억 500만 원 중 성남시 부담 예산 31억 5천200만 원을 확정했다.
경기도는 2월, 도비 매칭분(70%)을 도 1회 추가경정예산에 편성해 추진하겠다고 성남시에 통보해 왔다. 이에 성남시는 1분기 대상 청년(8496명)에게 우선 전액 시 예산 23억 6천700만 원을 투입해 지난 4월 20일 청년기본소득을 지급했다.
하지만 경기도는 9월부터 시작하는 3분기 청년기본소득 신청을 사흘 앞둔 지난달 29일, 도 1회 추경 예산편성안에 성남시 도비 보조금 미편성을 통보하면서 3분기 신청 중단을 초래했다. 3분기 청년기본소득 신청기간은 9월 1일부터 10월 2일까지다.
이에 따라 성남시는 경기도의 당초 약속과 달리 올해 도비 보조금을 일절 지원받지 못하게 되면서 2분기 기 선정된 청년기본소득 지급 대상자에게 올해 확보한 시 예산 중 잔액 7억 8천500만 원을 활용하여 청년기본소득의 30%(7만 5000원)를 지급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3분기 청년기본소득 신청 첫날인 지난 1일 오후, 성남시 청년기본소득 지급 대상에게 2023년 청년기본소득 예산 미편성으로 인하여 성남시 거주 만 24세 청년에게 2분기 청년기본소득 지급 및 3분기 청년기본소득 신청, 지급이 불가능하다’고 카카오톡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에 따라 성남시는 같은 날 오후, 성남시 청년기본소득 지급 대상 청년들에게 경기도가 시에 교부해야 할 도비 보조금을 편성하지 않아 청년기본소득 2분기 지급과 3분기 신청이 중단되며 추후 경기도가 예산 교부를 하면 2분기 지급 및 3분기 신청 사항을 안내하겠다는 문자를 발송했다.
성남시 관계자는 미편성된 도비 보조금이 조속한 시일 내에 편성될 수 있도록 경기도에 강력히 건의하고 있다면서 성남시 청년들의 불편 사항이 해소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성남시, "성남시민 건강박람회 율동공원서 15일 개최"
- 성남시 "정자교 보수.보강 공사 시, 시민 불편 최소화. '보행로' 추가 개통"
- 성남시립예술단,서울공항 K-16 주한미군 장병들을 위한 공연 펼쳐
- 성남시, 항저우 아시안게임 메달리스트 '포상금' 지급
- 성남시, 분당구 고기로 도로 복구 완료
- 성남시, '사회적경제 창업보육센터' 2023년 종료 예정...18개 입주사 갈곳 잃어
- 성남시, 공간크리에이터 이지영 대표 강연 열어
- 성남시, "겨울철 거리노숙인 보호대책 추진"
- 성남시, 분당구보건소 용역예산 추경안 시의회 통과... "사업 추진 탄력"
- 성남시, 공간정보 활용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 성남시, 지방세 고액·상습체납자 118명 명단공개
- 성남시, 2025년까지 ‘첨단 모빌리티 특화도시’ 조성
- 성남시, '2023 솔로몬의 선택' 성료... 총 99쌍 커플 탄생
- 성남시, ‘2024년도 소규모 공동주택 보조금 지원사업' 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