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반대' 지지 속 '반 이재명' 단일화 희망표까지 몰려 '낙승'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3일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김 후보는 이날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종합 득표율 56.53%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43.47%)를 꺾었다.
이번 최종 경선에선 당원투표와 국민여론조사를 50%씩 반영했다.
김 후보는 당원투표 61.25%(24만6천519표)를 얻어 한 후보(38.75%, 15만5천961표)를 22.5%포인트 앞섰다. 국민여론조사에서도 51.81%를 얻어 한 후보(48.19%)를 3.62%p 앞섰다.
김 후보는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된 이후 대표적인 탄핵 반대파로서 선명성을 드러냈다. 이로 인해 보수 진영 주자 중에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아오다가 지난달 9일 국민의힘에 입당한 뒤 대선 출사표를 냈다.
현재 대선 여론조사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얻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를 이기려면 '반 이재명'을 명분으로 하는 '빅텐트'를 구성해야만 한다는 것이 국민의힘의 판단이다.
김 후보는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설이 나오자 이 후보를 꺾기 위해 단일화에 나설 뜻이 있다고 밝힌 반면 한 후보는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과정의 의미가 떨어지게 된다"는 이유 등으로 소극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런 점에서 순조로운 단일화를 바라는 한 후보 지지표까지 김 후보에게 몰리면서 낙승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따라 김 후보와 지난 2일 대선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범보수세력 단일화가 순조롭게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정치권에선 김 후보가 경선에서 승리하면 한 후보가 대선캠프에서 중요한 직책을 맡고 반대로 한 후보가 이긴다면 김 후보 등 국민의힘의 적극적인 자원 속에 무소속으로 대통령 선거를 치른 뒤 당선되면 국민의힘에 입당하는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