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LG유플러스 제공]
[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고객들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AI 기반의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경찰과 협력하여 범죄 조직 검거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강화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로 인해 최근 3개월 동안 약 2천억 원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을 통해 보이스피싱 조직이 유포한 악성 앱 5,090건을 포착하여 경찰청에 관련 정보를 전달했다. 경찰청은 이를 바탕으로 피해 의심 고객의 거주지를 방문하여 현장에서 악성 앱을 삭제하는 등 구제 활동을 진행했으며, 이러한 조치로 약 2,087억 원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은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LG유플러스의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은 자사 고객을 위협하는 보이스피싱 조직의 활동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으며, 관련된 분석 결과를 주기적으로 경찰에 제공하고 있다. 특히 범행에 활용되는 악성 앱은 최우선 모니터링 대상이며, LG유플러스는 유관기관 및 자체 테스트베드를 통해 확보한 악성 앱을 분석하고 차단 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한 LG유플러스는 업계 최초로 서울경찰청과 현장 공조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 하에서 LG유플러스 직원과 경찰이 악성앱 설치가 의심되는 고객의 거주지를 직접 방문하여 실질적인 보호 활동을 시행하며 새로운 범죄 수법도 파악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또한 보이스피싱 조직이 수사망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변조 행위에 대한 추적에도 주력하고 있다. 업계 최초로 보이스피싱 범행에 사용되는 착신전환번호를 추출하여 경찰에 제공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070'으로 시작되는 인터넷 전화번호가 아닌 '02', '1588' 등의 번호로 위장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착신 전환 방식 때문에 실제 범죄 조직의 번호가 남아있어 범행이 지속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되고 있다.

또한 해외에서 운영되는 보이스피싱 조직들이 국내에서 발신번호 변작 중계기를 설치하여 전화 통화를 조작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어, LG유플러스는 이러한 불법 변작 패턴을 포착하고 관련 단말기의 식별번호(IMEI)를 추출하여 경찰에 알리고 번호 차단 지원에도 힘쓰고 있다. 지난해에는 약 1만7천여 건의 단말기 통신이 차단되며 성과를 냈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은 "보이스피싱 범죄 건수와 피해 액수가 매년 급증함에 따라 고객 보호를 위한 노력이 더욱 중요하다"며 "고객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자체 보안 역량 강화를 지속하며 경찰과 협업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퍼블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