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암학회는 2025년 AACR(미국암학회)에서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혁신적인 치료법을 공개했다.
14일 발표된 연구 결과는 암 연구 및 치료 분야의 최신 동향을 반영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HER2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최초의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TKI)의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Undruggable' 타겟으로 알려진 KRAS의 확장 가능성도 검토되었으며, 이로 인해 해당 표적을 겨냥한 항암제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세대 EGFR 억제제의 강력한 신규 주자도 등장하여, 기존 치료법 대비 우수한 효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두경부암 분야에서는 새로운 표준 치료법이 제시되어 임상 적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러한 변화는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 성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차세대 항체-약물 접합체(ADC)에 대한 도전이 이어지며, 듀얼 페이로드와 이중항체 ADC와 같은 혁신적인 접근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고형암을 목표로 한 T 세포 인게이지(T cell engager)의 도전 역시 중요한 연구 방향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AACR 2025에서는 예견된 anti-TIGIT의 실패가 언급되었으며, CAR-NK(Cellular Antibody Receptor Natural Killer) 기술에는 큰 변동이 없었다. 그러나 고형암 CAR-T에 대한 가능성이 확인되어 향후 연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CD40 타겟화에 대한 부활 가능성이 논의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기업 분석 측면에서는 리가켐바이오(141080/KQ)가 매수 의견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는 160,000원으로 설정되었다. 와이바이오로직스(338840/KQ)는 현재 평가를 받지 않고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데이터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AACR 2025는 글로벌 암 연구 및 개발 트렌드를 선도하는 중요한 행사였으며, 다양한 혁신적인 발견들이 발표됨에 따라 향후 암 치료 분야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