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ADM이 면역항암제 병용 전략에 집중하기 위해 기존 도세탁셀 병용 임상 1상을 자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결정은 단순한 임상 철회가 아닌, 글로벌 항암제 시장의 구조적 전환과 과학적 기전의 진보에 따른 선제적 대응으로 해석된다. 현대ADM은 이르면 5월 중 ECM 타깃 신약 '페니트리움'(Penetrium)과 면역항암제의 병용 임상시험계획(IND)을 재신청할 예정이다.

면역항암제가 대중화되고 있는 가운데, 머크(MSD)의 대표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의 핵심 특허는 2028년부터 만료될 예정이다. 현재 1,600건 이상의 병용 임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 등 국내외 주요 제약사들이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생산 인프라 확보에 힘쓰고 있다. 또한, 2025년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는 면역항암제의 가격 접근성 확대와 다양한 병용 요법이 시장의 중심 화두로 떠올랐다.

그러나 면역항암제가 대중화되더라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가 존재한다. 특히 '콜드튜머'(cold tumor)로 알려진 종양 ECM 장벽 문제는 큰 난제로 남아 있다. 종양이 경화된 ECM으로 둘러싸일 경우 T세포나 항체 약물이 종양 내부로 침투하지 못해 면역항암제가 무력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현대ADM은 이러한 문제를 '가짜내성'(pseudo-resistance)으로 정의하고, 이를 공략하기 위한 ECM 리프로그래밍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현대ADM이 개발 중인 페니트리움은 경화된 ECM을 부드럽게 리프로그래밍하여 면역세포와 치료 항체가 종양 내부로 침투할 수 있도록 돕는 기전을 가진 약물이다. AACR에서 발표된 동물실험 결과에 따르면 삼중음성유방암(TNBC) 모델에서 페니트리움과 항-PD-1 항체 병용 시 종양 크기가 단독군 대비 48.3% 감소했으며, 폐 전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들은 "페니트리움은 ECM 기반 면역항암제 병용 요법 중 임상 진입에 가장 근접한 혁신 후보물질"이라며 "면역항암제 대중화 이후의 병용 전략에서 중심축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현대ADM 관계자는 "도세탁셀 병용도 일정 효과는 있었지만 페니트리움의 본질적 기전은 면역항암제 병용을 통해 가장 명확하게 입증된다"면서 "시장 흐름과 과학적 확신이 모두 면역항암제 병용 쪽에 집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결정은 선택이 아니라 필연"이라고 설명했다.

김수정 현대ADM 신약개발 부문장은 "페니트리움은 AACR 발표를 통해 면역항암제 대중화 시대를 여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강조하며 "특허 만료를 앞둔 면역항암제 시장에서 글로벌 선점을 위해 병용 전략을 신속히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에 따르면, 면역항암제 시장은 2023년 약 437억 달러에서 2033년에는 약 2,842억 달러(405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ADM은 이번 전략 전환을 통해 삼중음성유방암과 전이성 폐암 등 다양한 고형 암으로 병용 임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 전환을 치료 기전의 우위를 확보하고, 면역항암제 대중화 이후의 병용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선도적인 움직임으로 평가하고 있다.

저작권자 © 퍼블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