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성신여대 제공]
[사진=성신여대 제공]
[사진=성신여대 제공]
[사진=성신여대 제공]

일본 나가사키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군함도의 1970년대 모습을 가상현실(VR) 영상으로 제작했다고 밝혔다. 이 VR 영상은 관광객들이 군함도 내 특정 장소에서 무료 애플리케이션 '스트리트 뮤지엄'을 다운로드하여 작동할 경우 감상할 수 있다. 그러나 군함도 외부에서 앱을 실행하면 VR 영상은 재생되지 않지만, 당시의 모습을 구현한 애니메이션은 관람이 가능하다.

나가사키시는 이번 VR 영상 제작이 세계유산 등재 10주년에 맞춰 진행된 것이라고 설명하며, 관광객들이 1970년대의 활기를 느끼고 유산의 가치를 인식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하지만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번 VR 콘텐츠가 조선인 강제노역과 같은 역사적 사실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군함도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일본은 나가사키에 '군함도 디지털 뮤지엄', 도쿄에 '산업유산정보센터' 등의 다양한 시설을 만들어 왔지만, 조선인 강제노역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서 교수는 지난 10년 동안 일본에게 속아왔다고 주장하며, 한국 정부는 대일 외교 전략을 변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강제동원 역사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때"라고 덧붙였다.

이번 사건은 과거 식민지 시절 일본의 강제노역 문제와 관련된 논란을 다시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군함도의 역사적 의미와 그로 인해 발생한 아픔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작된 VR 콘텐츠는 향후 논쟁의 중심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퍼블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