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의 사용이 일상화 된 요즘, 많은 사람들이 목과 어깨를 중심으로 통증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면 고개를 숙이고 화면을 바라보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활동의 지속적인 반복은 목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목디스크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하는 질환이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의 지속적인 사용이 원인이 되어 그 환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목디스크 치료, 오늘은 스마트폰으로 인한 목 통증을 유발하는 목디스크에 대해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지속적인 사용은 목디스크를 일으키는 주 원인으로 지목된다.

목디스크란 경추(목뼈) 뼈와 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탈출하거나 파열되어 경추를 지나는 신경을 압박하여 여러가지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흔히 경추 추간판탈출증이라고도 부릅니다. 목디스크는 경추에 나타나는 질환 중에서도 가장 많이 발견되는 질환 중 하나이며, 성별, 연령을 불문하고 그 환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목디스크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디스크 내부에 있는 수핵의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작은 충격으로도 목디스크가 유발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자세나 습관의 영향으로 목디스크가 발병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을 들 수 있습니다. 머리를 숙이고 고개를 앞으로 숙인 자세로 스마트폰을 바라보는 경우가 늘어날수록 경추가 받는 부담이 커지면서 목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높은 베개의 사용, 구부정한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경우, 교통사고 및 스포츠 부상 등 목디스크를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목 통증은 팔과 어깨로 이어지며, 두통 등을 동반한다.

뒷목을 중심으로 뻐근함과 통증이 느껴진다. 목 통증은 팔과 어깨로 내려오는 경향이 있다. 두통과 어지럼증이 나타난다. 손가락 및 손바닥이 저리거나 감각 이상 증상이 유발된다.
목디스크는 자리를 이탈한 디스크의 일부나 혹은 척추뼈에서 발생한 골극이 신경을 누르면서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뒷목을 중심으로 뻐근함과 통증이 나타나며 이러한 통증은 어깨와 팔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경이 압박되기 때문에 목 부위에 손상을 입게 될 경우 눌린 신경 범위에 해당하는 곳에 이상 증상이 동반됩니다.

팔에 힘이 빠지거나 저린 증상이 이어지며,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손바닥 및 손가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물건을 제대로 잡기 어렵거나, 감각 이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두통과 어지럼증, 피로감이 유발되는 것도 특징입니다. 목이 받는 부담이 커지면서 나나타는 증상이고 혈액순환도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동반되는 증상입니다.
목디스크는 초기에는 단순 통증인 경우가 많으나, 증상이 지속될수록 만성화되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존적 치료를 우선으로 시행하며, 그 후에 시술과 수술을 고려한다.

목디스크 증상이 있을 시에는 보존적 치료를 우선으로 적용합니다.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를 병행하며 생활습관 교정을 병행하여 증상을 호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약물과 물리치료로도 호전이 되지 않는다면 경막외신경성형술과 고주파신경감압술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경막외신경성형술의 경우 주삿바늘이 달린 특수 카테터를 통해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곳에 약물을 주입하여 치료하는 방법이며, 고주파수핵감압술의 경우 특수 바늘을 이용하여 고주파 열에너지를 이용해 자리를 이탈한 추간판을 줄여 증상을 완화하는 시술 방법입니다.
실제로 목디스크 치료의 경우 먼저 수술을 진행하는 것은 드뭅니다. 경추의 손상 여부와 증상의 정도에 따라 보존적 치료와 시술적 치료를 우선으로 적용하고 경과를 본 후에 수술적 치료를 고민하게 됩니다. 목디스크의 수술적 치료 방법은 척추내시경술이 있습니다. 내시경과 수술도구를 손상 부위에 삽입하여, 디스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완전 절개식 수술이 아니기 때문에 빠른 회복이 가능하며, 출혈과 통증이 적게 발생하므로 만성질환자 및 고령환자도 수술이 가능합니다. 수술 후에는 회복이 빠른 편이므로 일상으로의 복귀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 시 눈높이를 조절하고 장시간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목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악화 요인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오랜 사용은 자제하며, 사용하더라도 고개를 숙이며 목을 앞으로 빼는 자세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고개를 세우고 눈높이에 맞게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틈틈이 목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이 도움이 되며, 수면 시 적당한 높이의 베개를 사용하는것도 목디스크 예방에 좋은 생활습관입니다.
목디스크치료병원, 오늘은 목디스크에 대해 말씀 드렸습니다. 목디스크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었으나, 요즘은 잘못된 자세 및 생활습관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질환입니다. 특히, 스마트폰의 사용은 목에 부담을 주는 대표적인 원인인 만큼 평소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목에 지속적인 통증과 신경 이상 증상이 동반된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글=연세사랑병원 고용곤 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