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관절은 가동범위가 넓으며, 운동량이 많은 곳입니다. 그만큼 손상에 취약한 곳이기도 한데요. 일반적으로 어깨관절은 노화로 인한 퇴행으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어깨 인대 찢어짐을 유발하는 원인은 일상에서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어깨 인대 찢어짐 증상이 있을 시, 흔히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닌지 고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어깨 인대 찢어짐, 어깨인대파열에 대해 알아보며, 알맞은 치료 방법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어깨인대파열, 어깨 인대 손상과 힘줄 손상은 구분이 필요하다. 

사진=연세사랑병원
사진=연세사랑병원

 

인대는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구조물 중 하나입니다. 어깨인대파열이란, 어깨 부근의 인대가 손상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어깨와 힘줄은 같은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 엄연히 다른 역할을 합니다. 힘줄은 뼈와 근육을 연결해 근육의 힘을 전달하고, 관절의 운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인대는 뼈와 뼈를 이어주며 관절이 움직일 때 안정성을 확보해 주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어깨인대파열은 뼈와 뼈를 잇는 인대가 파열되면서 나타나며,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회전근개파열은 어깨의 힘줄이 파열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를 잘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퇴행성 변화와 무리한 활동과 운동으로 인한 급성 파열이 대표 원인이다. 

사진=연세사랑병원
사진=연세사랑병원

 

어깨인대파열은 다양한 원인으로 나타납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노화로 인한 퇴행 현상을 들 수 있습니다. 노화로 인해 관절이 약해질 경우, 주변 인대와 힘줄 조직도 함께 약해집니다. 따라서 관절의 퇴행 현상은 인대와 주변 조직의 약화로 이어지게 되며, 작은 충격으로도 어깨인대파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대표적인 어깨 질환에 해당하는 오십견과 회전근개파열과 같은 질환의 2차 질환으로 어깨인대파열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깨인대파열은 퇴행성 원인도 있지만 실제로는 급성 파열로 인해 발생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질환입니다. 어깨 관절은 360도 회전이 가능하며, 그만큼 운동량이 많은 관절입니다. 배드민턴과 테니스, 스키쉬 처럼 라켓을 손에 휘두르고 동작을 필요로 하는 스포츠를 지속적으로 할 경우, 운동 중 무리해서 손상을 입거나 인대가 지지하는 뼈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어깨인대파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추가적으로 무리하게 운동을 하거나 야외 활동을 할 경우, 운동으로 인한 부상을 입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등, 낙상으로 어깨의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어깨인대파열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인대가 찢어지면서 통증과 열감, 부종을 동반하며 어깨 움직임도 제한된다. 

사진=연세사랑병원
사진=연세사랑병원

▶ 어깨 관절을 중심으로 통증이 발생한다.▶ 어깨 관절 염증으로 붓거나 열감이 동반된다.▶ 어깨 운동에 제한이 발생하며 통증이 동반된다▶ 팔에 힘이 빠지거나 전반적으로 움직임이 부자연스럽다. 어깨인대파열의 대표 증상은 어깨 관절을 중심으로 발견되는 통증을 들 수 있습니다. 어깨 부분 중에서도 윗부분을 중심으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나, 때에 따라서는 옆, 아래까지 통증이 이어지므로 단순히 통증 위치로만 증상을 판단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사진4]
어깨 인대가 찢어지면서 염증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열감이 동반되거나 붓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어깨 운동 기능에 전반적인 제한이 발생하게 되므로 물건을 들거나 팔을 돌리는 등의 활동이 어렵습니다. 어깨를 움직일수록 어깨 관절에 통증이 동반되기 때문입니다. 
어깨에 나타나는 증상은 초기에는 경미하게 시작할 수 있으나 증상이 진행되면서 통증의 정도가 심해집니다. 팔에 전반적으로 힘이 빠지거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현상이 동반됩니다. 인대는 혈액 공급이 어렵고 자연회복이 어려운 특징이 있습니다. 증상이 만성화 되면 2차 질환의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어깨 인대 찢어짐, 손상 정도에 따라 치료를 다르게 적용한다. 

사진=연세사랑병원
사진=연세사랑병원

어깨 인대 찢어짐, 어깨인대파열의 초기 단계라면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주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를 적용합니다. 어깨인대파열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수술을 적용하는 것은 아니며, 증상이 경미한 경우, 일부 손상일 경우 보존적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움직임을 최소화 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보조기를 착용하기도 합니다. 

사진=연세사랑병원
사진=연세사랑병원

그러나 보존적 치료로도 효과가 없는 경우, 증상이 만성화 되었을 경우, 인대가 완전히 파열되었을 경우 탈구가 생기거나 다른 질환과 함께 동반되었을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어깨인대파열의 수술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봉합술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어깨에 내시경과 수술 도구를 삽입하여 육안으로 병변 부위를 직접 확인하면서 봉합하는 방식으로지 진행합니다. 수술 후에는 안정과 재활치료를 병행하게 됩니다. 

어깨 인대 찢어짐, 어깨인대파열은 수술 후에도 각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어깨 관절은 움직임이 많고 가동벙뮈도 넓기 때문에 증상 완화를 위한 생활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좋습니다.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들어올리거나 무리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스트레칭과 적당한 강도의 운동을 통해 재활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글=연세사랑병원 고용곤 원장

저작권자 © 퍼블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