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민 “생명수 동복댐 창조적 대안이 필요하다”
“동복댐 수문 설치하고, 화순군민의 안전과 재산권을 보장하라”

화순군민 권리찾기 운동본부 윤영민 전의원이 21일 광주광역시청과 광주시의회 앞에서 동복댐 관련 문제 해결을 촉구하며 1인 시위에 나섰다.
윤 전의원은 이날 “동복댐 수문 설치하고, 화순군민의 안전과 재산권을 보장하라”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동복댐 수문 설치와 현실에 맞지 않는 상수도 보호구역의 재조정을 강력히 요구했다.
윤 전의원 이어 “동복댐은 과거 행정구역이 동일하던 시절 졸속으로 지정된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인해, 현재 화순 군민들이 안전과 재산권 제한 등 2차 피해를 심각히 겪고 있다”라며 “초창기 지형 중심으로 지정된 보호구역이 현 지형과 맞지 않아 현실적인 규제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광주시는 동복댐의 수자원을 공급받는 당사자로서, 상수도 보호를 위해 수십 년간 희생해온 화순군민의 노력을 인정하고 상생의 자세로 임해야 한다”라며 “우리는 물을 깨끗하게 지키기 위해 환경규제를 감내하고, 관광 사업도 물에 피해를 주지 않는 조망형 관광으로 추진해왔다”고 밝혔다.
특히 “광주시가 일방적으로 협의를 거부하고, 상생의 자세 없이 점령군처럼 행정권을 휘두르고 있다”라고 비판하며, “이것은 행정의 본질을 벗어난 비민주적이며 비합리적인 폭거”라고 성토했다.
아울러, 동복댐에 수문이 없어 지난 홍수로 인한 피해 사례를 언급하며, “수문이 없는 댐은 군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멍청이 댐’일 뿐”이라며 “즉시 수문을 설치해 화순군민의 생명과 재산권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윤 전의원은 마지막으로 “이번 시위는 갈등을 유발하려는 것이 아니라 상생을 위한 제안”이라며, “광주시가 화순군과의 대화와 공동 연구를 통해 현실적 대안을 모색해줄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한편, 화순군은 이미 적벽 일대에 조망 중심의 관광 사업을 일부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주민 소득 증대와 지역 활성화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