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o 3, 운전자 보조 시스템 '권장하지 않음' 등급 받아

2025 서울모터쇼가 한창이다. 일산 킨텍스 전시장은 관람객들로 붐비고, 전기차 브랜드들은 저마다의 신기술과 콘셉트를 앞세워 존재감을 뽐낸다. 그 가운데 유독 눈에 띄는 브랜드가 있다. 중국 전기차 제조사 BYD다.

BYD는 이번 모터쇼를 통해 국내 소비자에게 본격적인 전기차 풀라인업을 선보였다. Atto 3, Dolphin, Seal 등 주력 모델들은 가격대와 디자인, 구동 성능 면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일부 매체는 ‘가성비의 제왕’, ‘전기차 시장의 다크호스’라는 수식어를 붙였고, 관람객 사이에서도 관심은 분명히 높다.

다만 이 브랜드를 둘러싼 구조적 질문들이 전시장의  조명 아래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 우려된다.

Atto 3의 국내 판매 가격은 기본형 기준 3,150만 원이다. 중국 현지 판매 가격은 119,800위안으로, 한화 약 2,300만 원 수준이다.

중국 정부는 자국 소비자에게 구매 보조금과 취득세 면제, 번호판 발급 우대 등 다중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를 모두 적용하면 원 이하로 낮아진다는 평가다(출처: BYD Auto 중국 공식 가격표, 2024년 기준).

한국에서는 국고보조금 최대 680만 원과 지자체별 보조금이 적용된다. 서울 기준 최대 300만 원까지 가능하며, 실구매가는 약 2,100만~2,300만 원 선으로 내려간다. 표면적으로 ‘보조금이 가격 격차를 해소했다’고 볼 수 있다. 달리 보면 국민 혈세에서 나온 정부 재정이 외국 브랜드의 가격 경쟁력을 키워주는 결과를 낳은 셈이다. 

보조금은 단지 할인 수단이 아니다. 정부가 친환경차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만든 재정 정책이다. 따라서 그 혜택이 어떤 브랜드에, 어떤 방식으로 분배되는지는 단순한 시장 문제가 아니라 정책 판단의 문제다.

국산 전기차 기업들은 국내 생산을 기반으로, 다수의 협력 부품사, 정비 인력, 물류망과 함께 움직인다.

반면, BYD는 부품의 대다수를 자체 공급하며 완성차 형태로 수입된다. 국내에 생산공장도, 기술 협력 체계도 없다. A/S 인프라는 아직 초기 단계로, 2025년 4월 현재 전국 운영 중인 공식 서비스센터는 10곳 남짓이다.

소비자는 보조금을 통해 낮은 가격에 전기차를 사면서 웃음을 지을 수 있지만 국내 에서 고용 창출, 기술 내재화, 지역 경제 파급력 효과를 거두지 못한 채 BYD에 우리 돈을 건네주는 구도만 초래할 뿐이다.  

BYD의 차량 성능은 일정 기준 이상을 만족하지만, 모든 시장에서 호평만 있는 것은 아니다.

Euro NCAP에 따르면, BYD Atto 3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테스트에서 “권장하지 않음(Not Recommended)” 등급을 받았다. 특히 운전자 모니터링 기능은 0점을 기록했고, 고속도로 주행보조 기능도 제한적인 성능을 보였다(출처: Euro NCAP, 2023년 평가 리포트).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브라질에서는 BYD 공장 건설 현장에서 노동권 침해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중국 인력을 대상으로 한 비인도적 근로계약 조항이 발견됐고, 이에 따라 현지 노동당국이 조사를 개시했다.

이처럼 해외에서는 제품 품질, 노동 이슈, 정책 혜택 구조 전반에 대해 보다 엄정한 검증과 감시가 이뤄지고 있는 반면 반면, 국내에서는 이와 같은 정보가 일반 소비자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않고 있다.

최근 다수 언론이 BYD의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집중 조명했지만, 상대적으로 A/S 체계, 가격 구조의 비대칭성, 산업 기여도, 정책 설계의 합리성은 비중 있게 다뤄지지 않았다.

BYD의 시장 진입은 글로벌 전기차 경쟁이 한국 시장에서도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해외에 막대한 물량을 수출하는 한국 자동차 산업 입장에서 외국산 차가 국내 시장에서 정당한 승부를 벌이는 것은 경쟁력 제고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주목해야 할 관점은 해외 자동차사의 국내 진입이 어떤 제도적 기반 위에서 이뤄지고 있는가에 있다.

보조금은 단지 ‘싼 전기차’를 사기 위한 수단에 그쳐서는 결코 안 된다. 어떤 전환을 유도하고, 어떤 산업을 키울 것인가에 대한 정책 목표 달성과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국가전략적 측면에서 전기차 보조금 책정 방식을 보다 정교하게 다듬을 필요가 크다.

저작권자 © 퍼블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