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극한 대립 '국민 안전' 위협…'3년 연속 삭감' 기재부·국토부도 원죄

정부가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연장 사업 예산을 3년 연속 삭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31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등 관련 부처에 따르면 무안공항 활주로 연장사업은 총사업비 492억원 규모다. 길이 2800m의 활주로를 3160m로 확장하는 사업으로서 현재 공정률은 70% 수준이다.

이 사업은 당초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년간 매년 123억원을 투입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 2022년 176억원이 들어간 이후 지난해는 95억, 올해는 100억원을 투입하는데 그쳤다. 내년 예산도 74억 5000만원만 반영되어 당초 계획 대비 40% 가까이 삭감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국회 국토교통위가 내년 예산을 74억 5000만원에서 106억원으로 31억 5000만원을 확대 편성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감액예산안이 통과되면서 증액이 수포로 돌아갔다.

비록 이용객은 적었지만 무안공항의 활주로를 연장해야 한다는 건의는 1999년 착공 때부터 있었다.

서남권 거점 국제공항으로 설계된 만큼 미국, 유럽 등을 오가는 보잉747과 같은 대형 항공기가 이착륙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999년 당시 국회 건설교통위(현 국토교통위) 소속 김홍일 의원은 "시공에 앞서 활주로 길이 설계를 변경, 연장할 것"을 공식 요구했다. 무안군의회, 목포시 등은 활주로 연장을 위해 300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2003년 건교부(현 국토부)는 "미국 등 장거리 항공노선은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타 공항에서는 수요 부족으로 개설이 용이하지 않다"며 이를 거부했다.

무안공항 활주로 연장 사업은 전남도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사업이다.

전남도는 무안공항의 세계화를 위해 지난 2019년 활주로 연장 사업 등을 담은 기본설계를 수립했다. 활주로 연장을 통해 미주, 유럽 등 중장거리 노선 운항 유치를 기대했기 때문이다.

물론 무안공항 활주로 길이 자체가 지난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주요 원인은 아니지만, 활주로 연장공사가 좀 더 속도감 있게 진행됐더라면 사고 피해를 좀 더 줄일 수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무안공항에서는 승객 등 181명을 태운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가 동체착륙을 시도하던 중 활주로 외벽에 충돌, 화재가 발생해 179명이 숨지는 참사가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사고 여객기가 활주로 끝단에 이를 때까지 속도를 줄이지 못했다는 점에서 활주로 길이를 사고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실제로 무안공항 활주로는 인천공항(3750~4000m)과 김포공항(3200~3600m) 보다 짧다. 

결국 여야 간 극한 대립이 국민 안전을 뿌리부터 흔들고 있는 셈이다. 아울러 무안공항 활주로 연장 사업에 소극적이었던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도 비판을 면할 수 없는 처지다.

한편,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2216편 충돌 사고와 관련해 활주로 폐쇄가 2025년 1월 7일 오전 5시까지 연장된다. 앞서 국토부는 사고 현장 수습을 위해 무안공항 활주로를 1월 1일 오전 5시까지 폐쇄하기로 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퍼블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