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규택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안정적인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하고, 인재 양성 추진 전략에도 힘써 미래 먹거리인 반도체 산업을 강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라고 밝혔다

23일 윤석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주재했다 = 출처 :대통령실 
23일 윤석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주재했다 = 출처 :대통령실 

윤 대통령은 23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주재했다.

경제이슈점검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23일 “정부가 금융, 인프라, R&D는 물론 중소·중견기업 지원까지 아우르는 26조 원 규모의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라고 밝혔다.

또 “1조 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만들어 유망 팹리스와 소부장 기업들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클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국민의힘 곽규택  수석대표인은 23일 윤석열 대통령이 26조 원 규모의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 프로그램 추진을 발표한데 대한 논평을 발표했다.

곽 수석대변인은 17조 원 규모의 금융지원 시스템을 통해 반도체 기업의 대규모 설비투자를 지원하는 것이 골자로, "우리 경제의 근간인 반도체 생태계의 경쟁력을 올리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정부는연구개발과 인력양성 투자를 늘리고, 일몰되는 투자 세액공제도 연장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투자에 차질이 없도록 하는 방침도 내놓았다며, 이는 반도체 산업의 미래 경쟁력 제고에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반도체는 우리 산업 생태계의 근간이며,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첨단 주력 사업으로, 자원이 없는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산업 강국으로 우뚝 설 수 있었던 성장 엔진이다"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반도체가 미·중 기술 패권 전쟁의 핵심 무기로 부상하고 후발 주자들의 거센 추격으로, "한국은 30년 가까이 지켜온 메모리 세계 최강국 지위가 흔들리는 상황에 직면 했다"라고 밝혔다.

곽 수석대변인은 미국, 유럽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은 반도체를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각종 보조금을 지급하고 공급망 확보를 위한 투자를 활발히 진행해 온 사이, "우리 기업들은 공장 증설조차 하지 못하는 등 각종 규제에 발이 묶인 상태다"라고 깅조했다.

그리고  과거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은 ‘K반도체 전략’을 내놓고 반도체 특별법도 만들었지만, "대기업 특혜 불가와 무역 마찰 우려 등의 논리가 끼어들고 가장 중요한 인력 양성에 관한 내용이 빠지면서 법안을 누더기로 만들었다는 비판을 받았다"라고 지적했다.

반도체는 민생이라는 대통령의 말처럼, 반도체는 국가 경제안보와 수출·고용 등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산업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안정적인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해 대한민국이 치열한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 뒤처지지 않도록 전방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인재 양성 추진 전략에도 힘써 미래 먹거리인 반도체 산업을 강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또한 계획이 차질 없이 집행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소통해 나가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5월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제1차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주재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부동산 PF, 기업 밸류업, 공매도 등 경제·금융 현안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저작권자 © 퍼블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